This study introduces a service design proposal for a user-participating farming platform. The project responds to three backgrounds :: the increasing demand for rural harvest experiences, rising agricultural product prices due to inflation, and a growing labor shortage in farming due to urbanization and an aging population. Using the design verb "Lower," the proposal aims to reduce entry barriers between urban and rural communities by creating a cultural bridge through experience-based consumption. The platform allows urban users to become one-day farmers, working for 1–3 hours and taking home part of the harvest. This approach encourages intergenerational and urban-rural interaction, offers meaningful experiences, and helps farmers with labor needs. Future research includes case studies and service design proposals using design thinking.
사용자 참여형 농업 플랫폼에 대한 서비스 디자인을 제안합니다! 이 프로젝트는 세 가지의 사회문제를 바탕으로 출발하였습니다. 첫째, 농촌 수확 체험 수요의 증가, 둘째, 대한민국 물가 상승으로 인한 농산물 가격 인플레이션, 셋째, 청년 유출 및 고령화로 인한 농업 인력 부족 현상입니다. 디자인 동사 ‘낮추다(Lower)’를 핵심 개념으로 하여, 도시와 농촌 간 진입 장벽을 낮추고, 체험 기반 소비 문화를 통해 상호 이해를 높이고자 합니다. 제안하는 서비스는 사용자가 1~3시간 농사에 참여하고, 수확물 일부를 보상으로 받아 가는 ‘원데이 파머(One-day Farmer)’ 플랫폼입니다. 이 방식은 농촌과 도시 간 연결을 만들고, 실질적인 농촌 일손 문제 해결과 신뢰할 수 있는 로컬 제품 확보라는 두 가지 목적을 동시에 달성합니다. 추후에는 관련 사례 분석 및 디자인 씽킹을 활용한 서비스 디자인 연구를 계획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