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민경

Minkyung Kang

 (

2020

,

Design Management

)

Overview

This campaign focuses on the theme of etiquette in public spaces—a fundamental yet often neglected part of everyday life. Rather than enforcing these behaviors through strict legal regulations, the campaign seeks to foster a culture of mutual respect and consideration by encouraging empathy and voluntary support from individuals. Targeting the MZ generation, who are highly familiar with social media, the campaign incorporates the trending “B-level” humor and subcultural aesthetics often seen in online content. By delivering the message in a humorous and entertaining way, it aims to resonate more effectively with the audience. To align with evolving media consumption patterns, the campaign utilizes Instatoons (Instagram webtoons) and adopts a quirky and absurd ("byungmat") concept in its content. Ultimately, this campaign differentiates itself from traditional public service announcements by using a fresh, unconventional approach to help people recognize inappropriate behaviors in public spaces. It also provides a platform for open communication and empathy through social media, aiming to improve public awareness of proper etiquette in shared environments.

본 연구의 캠페인 주제는 ‘공공장소 에티켓’으로 이는 우리의 인식에 비하여 잘 지켜지지 않지만, 일상생활에서 기본적이고 중요한 부분이다. 그러므로 공공장소에서 불쾌감을 느끼는 행위에 대하여 강압적인 법적 규제를 통해서가 아닌 사람들의 자발적인 공감과 지지를 이끌어냄으로써 서로 배려하고 존중하는 문화를 확산하고자 한다. 또한, 소셜 미디어 활용에 능숙한 MZ세대를 주요 타겟으로 설정하여 미디어에서 활용되는 트렌드인 ‘ B급’ 문화 코드를 반영하여 재미를 더한 유머러스한 방식으로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한다. 이러한 미디어 환경 변화의 흐름에 따라 새로운 장르로 떠오르는 인스타툰(Instatoon)을 활용하여 ‘병맛’ 컨셉의 콘텐츠를 제작하였다. 결론적으로 기존의 진행되었던 공공 캠페인과 차별화를 주어 신선하고, 색다른 방식으로 메시지를 전달하여 사람들로 하여금 공공장소에서 민폐가 될 수 있는 행동 유형을 인식시키고자 하였다. 또한, 소셜 미디어를 기반으로 사람들과 공감을 형성하고 자유롭게 소통할 수 있는 에티켓 인식 개선을 위한 공공 캠페인을 제작하였다.

Background

Human beings are inherently social and cannot live in isolation. The society we live in is a community built upon relationships between individuals, and thus holds significant value in a social context. Public campaigns are a form of communication aimed at raising awareness of socially meaningful issues among members of society, with the goal of encouraging behavioral change or shaping attitudes for the public good. However, most public campaign messages tend to address broad and familiar topics, which often leads to low levels of awareness and engagement from the public. Additionally, because these campaigns target the general population, they tend to rely on conventional and standardized communication methods. To improve public attention and engagement, this project aims to introduce a new form of communication by utilizing social media—one of the core platforms for cultural creation and distribution—and reflecting the latest media trends.

인간은 사회적 동물로 혼자 살아갈 수 없으며, 우리가 속해 있는 사회는 개인이 서로 관계를 맺으며 살아가는 공동체로서 사회적인 차원에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공공 캠페인은 공익의 가치를 위해 사회 구성원에게 사회적으로 중요하고 의미 있는 문제를 인식시키고, 이를 통해 개인의 행동을 변화시키거나 태도를 형성하는 데 목적이 있는 커뮤니케이션 활동이다. 하지만 대다수의 공공 캠페인 메시지는 우리가 이미 알고 있는 익숙한 주제를 다루고 있으며, 주제의 범위도 다소 넓기 때문에 사람들의 인지도와 관심도가 높지 않다. 또한 사회의 모든 구성원을 대상으로 메시지를 전달하기 때문에, 정형화된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사람들의 관심과 주목도를 높이기 위해 문화를 생산하고 확산하는 데 핵심적인 플랫폼인 소셜 미디어(Social Media)와 최신 미디어 트렌드를 반영하여,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방식의 캠페인을 실행하고자 한다.

Design